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8

보늬밤 만들기:: 장건강에 좋은 보늬밤 만드는 법 & 보늬밤떫은맛 없애는 법/ 보늬밤효능 보늬밤조림은 영화 리틀포레스트에 등장 후 인기 있는 간식 중에 하나가 되었습니다. 요즘 SNS에서도 뜨겁게 떠오르는 간식인데요. 건강과 맛 두 가지 다잡는 요리법으로 멋진 가을을 보내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오늘은 보늬밤의 효능과 보늬밤 만드는 법을 건강전문가인 장라레Lifestyle Doctor 유튜브를 활용해서 만들어 봅니다.  보늬밤의 효능:보늬밤의 효능은 장건강입니다.밤의 속껍질은 율피라고 하는데 우리 순수함 말은 '보늬'라고 합니다.속껍질을 벗기지 않은 밤을  보늬밤이라고 합니다.한의학에서 밤을 약재로 쓸 때는 '생율', '유외피'라 하여 속껍질을 벗기지 않고 약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혀로 속껍질을 대보면 떫은맛이 나는데 이 떫은맛이 '탄닌;이라고 하는 성분입니다. 밤껍데기에서 추출되는 폴리.. 2024. 9. 25.
미역국 끓이는 방법 :: 양지 미역국 맛있께 끓이는 시간 & 미역의 효능 계절이 변하면 먹고싶은 미역국계절이 변할때 어떤음식이 먹고싶으세요.따뜻한 미역국은 몸의 뭉친것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계절이 변하여 쌀쌀해지거나 여름에 찬것을 많이 먹을때 먹고싶다는 것은 우리몸이 원하는 것 입니다.   저는 미역국 재료인 양지를 샤브샤브용으로 썰어서국을 끓일때 사용합니다.  양지 특유의 고소함이 살아있고미역국 끓이는 시간을 단축 시켜줍니다. 오늘은 미역국 맛있게 끓이는 법과 시간,그리고 미역의 효능을 기록합니다. 미역국 맛있끓이 는 법:재료:미역 20g소고기 양지 200g참기름 3스푼국간장 5스푼물 2.6L다진마늘 1스푼멸치액젓 3스푼 ※ 물의 양과 간은 각자의 기호에 맞게 미역국의 색이 진해지는 것을 싫어할 경우소금으로 간을 하는 것도 좋아요.   1. 미역을 미지근한 물에 불려.. 2024. 9. 23.
육전 만드는법:: 소고기 구입방법 & 양념과 파절이 /묵은지 만드는법 임금님 수라상에 오르던 육전육전은 예전에는 임금님의 수라상에 오르던 요리라고 하는데요. 진주성전투에서 군사들에게 고기를 나눠주기 위해서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고남도에서 많이 드시던 음식인데 요즘 전국적으로 육전의 붐이 일고 있네요.  육전을 진주여행에서 처음 먹어보고 집에와서 자주 만들어 먹던 음식 입니다.아이들 간식으로도 좋고, 손님 왔을 때 별미로 내놔도 손색이 없고, 술안주로도 매우 좋은 육전을 오늘 만들고 많은 분들과 공유하기 위해 곁들여 먹는 음식까지 기록합니다.  육전 만드는 법 :재료(2인분)소고기 샤브사브용 200g찹쌀가루 2스푼(없을 경우 밀가루나 부침가루, 튀김가루 다 좋아요.)계란 2개참기름 1스푼진간장 2스푼 식초 1스푼까나리액젓 1스푼(멸치액젓, 다랑어액젓등 사용가능)    1. .. 2024. 9. 18.
냉동떡 해동하는법 :: 굳은 송편 라면포트에 찌는 법& 냉동송편 찌는 시간 추석 명절에 가장 많이 먹는 송편요즘은 집에서 송편을 만들기보다 떡집에서 사서 먹는 경우가 많은 데요. 저도 송편맛이 쫀득하고 소를 맛있게 하는 집에서 추석 때 여유 있게 구입해서 냉동실에 보관하고 먹고 싶을 때 쪄서 먹고 있습니다. ● 냉동송편 해동방법: ● 굳은 송편 맛있게 찌는 방법 ● 라면포트에 송편 찌는 법  냉동송편을 해동하는 법은 냉동된 송편을 실온이나 냉장고에 내려놓으면 해동이 되는 데요. 송편은 멥쌀로 만들기 때문에 냉동송편을 해동해도 바로 먹기에는 떡이 굳어있어서 맛이 없어요. 그래서 오늘은 냉동떡 맛있게 찌는 법을 기록합니다. 냉동송편 맛있게 찌는 법 :재료:송편물참기름 약간 도구:라면포트 & 냄비와 겅그레, 찜통  등. 오늘은 라면포트를 이용해서 송편을 찔 건데요. 라면포트가 생각보.. 2024. 9. 16.
밥 삶는법 :: 밤삶을 물의 양 & 밤 맛있게 삶아지는 시간 /삶은밤 보관법/ 밤 삶은물 효능 가을철 보양견과 밤 삶는 법밤농사짓는 친구가 추석에 쓰라고 밤을 한 자루 보냈습니다.제가 제일 좋아하는 견과류가 밤인 것을 아는 친구는 수학하면 저에게밤을 작은 자루지만 한 자루 보내줍니다.  밤은 부드럽게 잘 삶아야 맛이 있어요.밤은 덜 삶아도 맛이 없고 푹 삶아도 맛이 없어요.그래서 오늘은 밤 삶는 법을 기록합니다.  밤의 효능: 밤은 단백질보다는 전분과 당질이 가득 들어있는 견과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특히 밤에는 비타민C도 많이 들어있는데 밤에 들어있는 비타민C는 굽거나 삶아도 파괴되지 않습니다. 밤은 알맹이에만 효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속껍질과 겉껍질에도아주 좋은 효능이 있는데요.   밤의 속껍질의 효능 :속껍질은 탄니이라는 떫은 성질의 성분이 있는데 이 성분이 피부를 수축시켜서.. 2024. 9. 15.
두부조림:: 우리 집 밥도둑 & 두 가지 맛 두부조림 양념장 만들기/ 두부효능 매콤 달콤 짭조름 두 가지 맛 두부조림유럽에서 온 지인이 두부조림을 좋아하는데 매운맛을 못 먹어서 두가지 맛으로 두부조림을 만들어 봤어요.   이렇게 간단하게 두 가지 맛이 만들었어요. 두부부침은 두부의 고소함과 양념맛이 중요한데요.매운맛을 첨가 하느냐 아니면 안 맵게 하느냐는사람마다 호불호가 갈리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두가지 맛의 두부부침을 쉽고 간단하게 하는 법을 양념장 만드는 법과 함께 기록합니다. 두부조림 만드는 법 :두부 300g대파1대다진 마늘 1/2스푼진간장 3스푼참기름 1스푼식용유 1스푼고춧가루 1/2스푼물 50ml통깨 1스푼※ 참기름 대신 들기름을 사용해도 맛있어요.    1. 프라이팬이 달궈지면 식용유를 두르고두부를 올려 줍니다.   2. 중불에서 두부 앞뒤가 노릇하게구워줍니다. ※ .. 2024. 8. 30.
짜장 만들기:: 짜왕을 이용한 짜장만드는 법 & 온가족이 좋아하는 짜장면 짜왕을 이용한 짜장면 몇 해 전부터 자장면집 자장면이 맛이 없다는 생각이 들던 차에 슈퍼마켓에서 짜왕이라는 라면을 보았습니다. 짜왕에 새겨진 그림이 군침이 돌 정도로 구미를 자극했습니다. 그래서 묶음으로 된 짜왕을 한 번들 사가지고 왔습니다. 그런데 그냥 끓여 먹었더니 생각만큼 맛있지는 않았어요. 그래서 생각을 했습니다.   짜장면에는 야채와 고기가 들어갔고 삼선짜장면에는 해물이 들어갔는데, 나도 좀더 맛있게 만들어 보자는 생각을 했고, 정말 만들어 먹으니 맛있었어요. 요즘은 자장면집에 자장면 먹으러는 안 가고 제가 짜왕을 이용해서 짜장면을 만들어 먹고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짜왕을 이용한 짜장면 만드는 법을 재료와 함께 기록합니다.   짜왕은 봉지속에 면, 짱 왕짜장스프, 짜 왕후레이크스프, 짜왕 오일.. 2024. 8. 26.
알배기배추 물김치 :: 아이들을 위한 배추 물김치 만들기 & 배추효능 배추의 달콤함과 시원한 배추물김치알배기배추 물김치 여름배추 물김치 달콤 시원한 배추물김치 아이들을 위한 배추물김치    여름배추물김치는 냉면을 먹을 때도 좋고,비빔국수를 먹을 때 국물과 함께 곁들여 먹어도 좋은데요. 무엇보다도 매운 것을 못 먹는 어린아이들에게 김치 먹는 습관을 들일 때 정말 좋습니다. 오늘은 매운 것만 빼고시원하면서 달콤한 알배기배추물김치 만드는 법과재료를 기록합니다.    배추효능: 위장의 기운이 약해 생긴 위궤양이나 소화불량, 대변이 건조하여 생기는 변비 또는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에 접합하며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암, 규폐증, 당뇨, 비만에 좋고 성장발육기의 어린이들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그리고 가슴이 번열이 있어 답답한 증상이나 유선암의 .. 2024. 8. 24.
무장아찌 무침 :: 간장무짱아찌 맛있게 무치는 방법 & 밑반찬/ 도시락반찬 더운 여름 밥도둑 무장아찌무침 어린 시절 여름철이면 도시락 반찬이었던 무장아찌 무침이 생각나게 해주는 요리로, 더운 날 찬물에 밥 말아먹던 시절에 밥도둑역할을 충분히 했던 무 장아찌는 지금도 더운 여름날이면 먹고 싶은 요리 중 하나입니다.    유럽에서 온 지인은 무장아찌를 무쳐 놨더니"고향의 맛이 이런 것이지."하며 오도독 씹는 소리를 내며 즐거워합니다. 무장아찌를 짠무가 남아서 햇볕에 말려가지고간장을 떠 부어놓았던 것이라 깜빡 잊고 있었어요.냉장고 깊숙한 곳에 넣어 두었다 여름에 먹으면입맛 없을 때 밥에 찬물 말아 무장아찌무침 올려 먹으면 밥도둑이 따로 없다고 생각하고 가끔 담그는 것입니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는 장아찌를 된장이나 고추장에 박아놓기도 하고짜게 담갔다가 여름에 먹었던 기억이 있는데요... 2024. 8. 23.
728x90
반응형